복음서의 세계-사회적 세계 ①
(가족생활)
홍영의 전도사(중계교회)
1. 결혼과 가족을 구성하는 것에 대한 생각
창세기 1:28의 "생육하고 번성하여 땅을 정복하라"는 하나님의 명령으로, 유대교 내의 결혼과 출산은 종교적 의무로 이해되었다. 그래서 결혼하지 않는 성년들은 드물었으며, 독신생활을 고집하는 자들은 사회에서 소외당했다. 일반적으로 여자는 12~14세의 나이에 결혼하였고, 남자는 18~20세에 결혼하였다. 여자 쪽 부모와의 정당한 합의를 거치면 약혼을 하게 된다. 약혼은 곧 혼인 관계로 설정된다. 그래서 결혼식 이전에 약혼자가 죽으면 여자는 과부가 되었다..
2. 일부다처제
AD 비록 유대 율법에 의해 일부다처제가 허락되어졌지만, 경제적인 이유 때문에 실제적으로는 거의 실행되지 않았다. 단 자녀가 없이 남자가 죽었을 경우 혈통을 지속하기 위해 그의 형제 중 가장 나이 많은 사람이 그 과부와 결혼하게 됨으로 일부다처제가 되는 경우는 있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의무도 종교의식을 걸치면 '형수와의 결혼'의무도 거부 할 수 있다.
3. 이혼
만약에 아내에게서 이혼에 합당한 어떤 수치스러운 일을 발견하게 되면 이혼증서를 주고 아내와 이혼할 수 있었다. 단 이혼할 경우 아내에게 지참금을 주어야하는 의무가 따랐다. 당시 율법학자들은 크게 2개의 문파로 분류 된다. 하나는 '샴마이 학파' 다른 하나는 '힐렐 학파'이다. '샴마이 학파' 율법학자들은 여자들에게도 이혼할 권리를 주어서, 남편과 이혼을 가능하도록 열어두었다. '힐렐 학파' 율법학자들은 오직 남편만이 이혼을 주도 하도록 하였으며, 이혼의 사유를 남편의 마음에 들지 않는 요소까지 허락하였다. 예를 들면, 밥을 태우거나, 말이 많거나, 집을 자주 비우거나, 못생겼거나 등이 이혼의 사유로 인정되었다. 하지만 이혼에 따른 재정적인 부담으로 실제적 이혼의 경우는 흔하지 않았다.
4. 장례
가족 가운데 사람이 죽으면, 가족들과 가까운 친구들은 자신들의 옷을 찢으며 그들의 슬픔을 표현하였다. 매장은 죽은 날에 묻었다. 시체는 씻겨서 수의에 싸였고 나무 관에 매장되었다. 부유한 사람은 동굴 안에 무덤을 만들었고, 일반적으로는 길가에 묻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순례자들이 여행을 할 때 잘못하여 무덤을 밟을 수가 있었다. 그것을 피하기 위해서 여행객이 많은 기간에는 무덤에 회칠을 하여 부정을 피하게 하였다. 장례절차에는 '곡'이 행하여졌다. 유대인들은 장례를 위하여 곡하는 사람을 자주 고용하였다. 최소한 피리 부는 자 두 명과 울어주는 여자 하나를 고용하였다. 이러한 사람들을 많이 고용할수록 거대한 장례식으로 간주했다.
(가족생활)
홍영의 전도사(중계교회)
1. 결혼과 가족을 구성하는 것에 대한 생각
창세기 1:28의 "생육하고 번성하여 땅을 정복하라"는 하나님의 명령으로, 유대교 내의 결혼과 출산은 종교적 의무로 이해되었다. 그래서 결혼하지 않는 성년들은 드물었으며, 독신생활을 고집하는 자들은 사회에서 소외당했다. 일반적으로 여자는 12~14세의 나이에 결혼하였고, 남자는 18~20세에 결혼하였다. 여자 쪽 부모와의 정당한 합의를 거치면 약혼을 하게 된다. 약혼은 곧 혼인 관계로 설정된다. 그래서 결혼식 이전에 약혼자가 죽으면 여자는 과부가 되었다..
2. 일부다처제
AD 비록 유대 율법에 의해 일부다처제가 허락되어졌지만, 경제적인 이유 때문에 실제적으로는 거의 실행되지 않았다. 단 자녀가 없이 남자가 죽었을 경우 혈통을 지속하기 위해 그의 형제 중 가장 나이 많은 사람이 그 과부와 결혼하게 됨으로 일부다처제가 되는 경우는 있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의무도 종교의식을 걸치면 '형수와의 결혼'의무도 거부 할 수 있다.
3. 이혼
만약에 아내에게서 이혼에 합당한 어떤 수치스러운 일을 발견하게 되면 이혼증서를 주고 아내와 이혼할 수 있었다. 단 이혼할 경우 아내에게 지참금을 주어야하는 의무가 따랐다. 당시 율법학자들은 크게 2개의 문파로 분류 된다. 하나는 '샴마이 학파' 다른 하나는 '힐렐 학파'이다. '샴마이 학파' 율법학자들은 여자들에게도 이혼할 권리를 주어서, 남편과 이혼을 가능하도록 열어두었다. '힐렐 학파' 율법학자들은 오직 남편만이 이혼을 주도 하도록 하였으며, 이혼의 사유를 남편의 마음에 들지 않는 요소까지 허락하였다. 예를 들면, 밥을 태우거나, 말이 많거나, 집을 자주 비우거나, 못생겼거나 등이 이혼의 사유로 인정되었다. 하지만 이혼에 따른 재정적인 부담으로 실제적 이혼의 경우는 흔하지 않았다.
4. 장례
가족 가운데 사람이 죽으면, 가족들과 가까운 친구들은 자신들의 옷을 찢으며 그들의 슬픔을 표현하였다. 매장은 죽은 날에 묻었다. 시체는 씻겨서 수의에 싸였고 나무 관에 매장되었다. 부유한 사람은 동굴 안에 무덤을 만들었고, 일반적으로는 길가에 묻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순례자들이 여행을 할 때 잘못하여 무덤을 밟을 수가 있었다. 그것을 피하기 위해서 여행객이 많은 기간에는 무덤에 회칠을 하여 부정을 피하게 하였다. 장례절차에는 '곡'이 행하여졌다. 유대인들은 장례를 위하여 곡하는 사람을 자주 고용하였다. 최소한 피리 부는 자 두 명과 울어주는 여자 하나를 고용하였다. 이러한 사람들을 많이 고용할수록 거대한 장례식으로 간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