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음서의 세계-사회적 세계 ④
(사회적 신분)
홍영의 전도사(중계교회)
1. 제사장
로마 사회는 다양한 사회 계층이 있다. 원로원, 총독, 기마, 평민, 자유민, 노예. 팔레스타인은 로마의 사회 계층에 따라 분류되지 않았지만, 자체적으로 계급적 사회를 만들어 냈다. 팔레스타인에서 가장 높은 계급은 제사장이다. 이 계급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부모로부터 상속되었다. 이 계급은 다시 24개의 모둠으로 나뉜다. 제사장 계급에서도 가자 높은 것은 대제사장이다. 대제사장은 종신직으로 유대교 영적 지도자이다. 대제사장은 '구속의 날'에 백성들을 위해 속죄제를 드릴 수 있는 유일한 사람이다. 예루살렘의 제사장들은 대제사장을 중심으로, 평신도 귀족계급(부자, 영향력 있는 사람 등)과 함께, 백성들의 삶에 대해 통제를 행사하였던, 사회-종교-정치적 그룹을 형성하였다. .
2. 레위인
유대의 성직자로 두 번째로 높은 신분을 지닌 자들은 레위인들이었다. 그들은 명백히 제사장들보다는 사회적으로 낮은 신분이었다. 이 사람들은 성전에서 노래를 부르거나, 문지기, 보초, 그리고 성전의 관리인으로 섬겼다. 제사장들처럼, 레위인들도 24개의 모듬이 있다. 각 모듬은 일주일에 한번 성전에서 섬겼다.
.
3. 서기관
유대교 내에서 성서 연구의 중요성 때문에, 유대 성경의 연구와 교훈에 대해 그들의 삶을 헌신하였던 사람들에게 특별한 명예의 신분이 제공된다. 바로 서기관이다. 그들은 종교적 전통의 보호자요 전달자의 기능을 담당하였다. 그들은 또한 교사들이다. 이들이 사회에서 갖는 힘과 영향력은 그들이 지닌 경제적인 신분에서 온 것이 아니라, 그들의 지식으로부터 나온 것이다. 그래서 많은 서기관들은 가난했고, 어떤 형태의 노동을 통해 스스로 경제적 문제를 해결하였다.
.
4. 평민
제사장, 레위인, 서기관 밑에, 평민들이 있었다. 이 사람들은 농부, 상인, 직공업들과 같은 직업을 가진 자들이다. 대부분의 사회에서처럼, 한 분야의 전문 직업들은 일일 노동자, 소작인, 직공들 보다는 많은 특권을 누렸다.
5. 노예
평민 아래 노예들이 있었다. 그들은 로마 제국 전반에 걸쳐 수가 많았으며 고대 경제에 대단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다. 사람들은 다양한 이유로 노예가 되었다. (1) 일반적으로 전쟁으로 인한 정복으로 생긴 노예-로마에 살고 있었던 유대 백성은, 사실상 팔레스타인으로 부터 로마로 데려온 유대 노예들의 후손들이다. (2)노예인 여인으로 부터 태어난 자녀들은 태어날 때부터 노예다. (3)빚을 지불할 수 없는 사람들은 가족의 빚을 지불하기 위해 노예로 팔렸다. (4)심각한 재정적 어려움으로 인해 부모들은 자녀들을 노예로 팔았다. (5)부모가 죽으면, 남겨진 아이들은 누군가에 의해 노예로 팔렸다. (6)노예로 삼기 위해 어린 아이를 납치하여 된 노예... 로마제국에서 노예들은 법적인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함부로 노예들을 죽이거나 학대하는 것은 형벌에 해당하였다. 장사, 농업, 가정에서 일하는 노동 노예 외에도, 행정관, 의사, 학자, 시인, 가수 등 특별한 직업 노예가 존재했다.
(사회적 신분)
홍영의 전도사(중계교회)
1. 제사장
로마 사회는 다양한 사회 계층이 있다. 원로원, 총독, 기마, 평민, 자유민, 노예. 팔레스타인은 로마의 사회 계층에 따라 분류되지 않았지만, 자체적으로 계급적 사회를 만들어 냈다. 팔레스타인에서 가장 높은 계급은 제사장이다. 이 계급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부모로부터 상속되었다. 이 계급은 다시 24개의 모둠으로 나뉜다. 제사장 계급에서도 가자 높은 것은 대제사장이다. 대제사장은 종신직으로 유대교 영적 지도자이다. 대제사장은 '구속의 날'에 백성들을 위해 속죄제를 드릴 수 있는 유일한 사람이다. 예루살렘의 제사장들은 대제사장을 중심으로, 평신도 귀족계급(부자, 영향력 있는 사람 등)과 함께, 백성들의 삶에 대해 통제를 행사하였던, 사회-종교-정치적 그룹을 형성하였다. .
2. 레위인
유대의 성직자로 두 번째로 높은 신분을 지닌 자들은 레위인들이었다. 그들은 명백히 제사장들보다는 사회적으로 낮은 신분이었다. 이 사람들은 성전에서 노래를 부르거나, 문지기, 보초, 그리고 성전의 관리인으로 섬겼다. 제사장들처럼, 레위인들도 24개의 모듬이 있다. 각 모듬은 일주일에 한번 성전에서 섬겼다.
.
3. 서기관
유대교 내에서 성서 연구의 중요성 때문에, 유대 성경의 연구와 교훈에 대해 그들의 삶을 헌신하였던 사람들에게 특별한 명예의 신분이 제공된다. 바로 서기관이다. 그들은 종교적 전통의 보호자요 전달자의 기능을 담당하였다. 그들은 또한 교사들이다. 이들이 사회에서 갖는 힘과 영향력은 그들이 지닌 경제적인 신분에서 온 것이 아니라, 그들의 지식으로부터 나온 것이다. 그래서 많은 서기관들은 가난했고, 어떤 형태의 노동을 통해 스스로 경제적 문제를 해결하였다.
.
4. 평민
제사장, 레위인, 서기관 밑에, 평민들이 있었다. 이 사람들은 농부, 상인, 직공업들과 같은 직업을 가진 자들이다. 대부분의 사회에서처럼, 한 분야의 전문 직업들은 일일 노동자, 소작인, 직공들 보다는 많은 특권을 누렸다.
5. 노예
평민 아래 노예들이 있었다. 그들은 로마 제국 전반에 걸쳐 수가 많았으며 고대 경제에 대단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다. 사람들은 다양한 이유로 노예가 되었다. (1) 일반적으로 전쟁으로 인한 정복으로 생긴 노예-로마에 살고 있었던 유대 백성은, 사실상 팔레스타인으로 부터 로마로 데려온 유대 노예들의 후손들이다. (2)노예인 여인으로 부터 태어난 자녀들은 태어날 때부터 노예다. (3)빚을 지불할 수 없는 사람들은 가족의 빚을 지불하기 위해 노예로 팔렸다. (4)심각한 재정적 어려움으로 인해 부모들은 자녀들을 노예로 팔았다. (5)부모가 죽으면, 남겨진 아이들은 누군가에 의해 노예로 팔렸다. (6)노예로 삼기 위해 어린 아이를 납치하여 된 노예... 로마제국에서 노예들은 법적인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함부로 노예들을 죽이거나 학대하는 것은 형벌에 해당하였다. 장사, 농업, 가정에서 일하는 노동 노예 외에도, 행정관, 의사, 학자, 시인, 가수 등 특별한 직업 노예가 존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