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만남교회

조회 수 30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201336() 좋은만남교회 수요성서대학 / 강사: 이관택 전도사

 

 

빌레몬 서신

 

1 그리스도 예수 때문에 감옥에 갇힌 나 바울과 형제 디모데가, 우리의 사랑하는 동역자 빌레몬과 그, 2 자매 압비아와 우리의 전우인 아킵보와 그대의 집에 모이는 교회에, 이 편지를 씁니다. 3 하나님 우리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내려주시는 은혜와 평화가 여러분에게 있기를 빕니다.

 

4 나는 기도할 때마다 그대를 기억하면서, 언제나 나의 하나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5 나는 주 예수에 대한 그대의 믿음과 모든 성도에 대한 그대의 사랑에 관하여 듣고 있습니다. 6 그대의 믿음의 사귐이 더욱 깊어져서, 우리 안에 있는 모든 선한 일을 그대가 깨달아 그리스도께 이르게 되기를 나는 기도합니다. 7 형제여, 나는 그대의 사랑으로 큰 기쁨과 위로를 받았습니다. 성도들이 그대로 말미암아 마음에 생기를 얻었습니다.

 

8 그러므로 그리스도 안에서 나는 그대가 마땅히 해야 할 일을 아주 담대하게 명령할 수도 있지만, 9 우리 사이의 사랑 때문에, 오히려 그대에게 간청을 하려고 합니다. 나 바울은 이렇게 나이를 많이 먹은 사람이요, 이제는 그리스도를 전하는 일로 또한 갇힌 몸입니다. 10 내가 갇혀 있는 동안에 얻은 아들 오네시모를 두고 그대에게 간청합니다. 11 그가 전에는 그대에게 쓸모 없는 사람이었으나, 이제는 그대와 나에게 쓸모 있는 사람이 되었습니다. 12 나는 그를 그대에게 돌려보냅니다. 그는 바로 내 마음입니다. 13 나는 그를 내 곁에 두고 내가 복음을 위하여 갇혀 있는 동안에 그대를 대신해서 나에게 시중들게 하고 싶었으나, 14 그대의 승낙이 없이는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았습니다. 나는 그대가 선한 일을 마지못해서 하지 않고, 자진해서 하기를 원하기 때문입니다. 15 그가 잠시 동안 그대를 떠난 것은, 아마 그대로 하여금 영원히 그를 데리고 있게 하려는 것이었는지도 모릅니다. 16 이제부터는 그는 종으로서가 아니라, 종 이상으로 곧 사랑 받는 형제로 그대의 곁에 있을 것입니다. 특히 그가 나에게 그러하다면, 그대에게는 육신으로나 주님 안에서나 더욱 그러하지 않겠습니까? 17 그러므로 그대가 나를 동지로 생각하면, 나를 맞이하듯이 그를 맞아 주십시오. 18 그가 그대에게 잘못한 것이 있거나, 빚진 것이 있거든, 그것을 내 앞으로 달아놓아 주십시오. 19 나 바울이 친필로 이것을 씁니다. 내가 그것을 갚아 주겠습니다. 그대가 오늘의 그대가 된 것이 나에게 빚진 것이라는 사실을 나는 굳이 말하지 않겠습니다. 20 형제여, 나는 주님 안에서 그대의 호의를 바랍니다. 그리스도 안에서 나의 마음에 생기를 넣어 주십시오. 21 나는 그대의 순종을 확신하며 이 글을 씁니다. 나는 그대가 내가 말한 것 이상으로 해주리라는 것을 압니다. 22 그리고 나를 위하여 숙소를 마련해 주십시오. 여러분의 기도로 내가 여러분에게 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

 

23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나와 함께 갇힌 에바브라가 그대에게 문안합니다. 24 나의 동역자인 마가와 아리스다고와 데마와 누가도 문안합니다. 25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가 여러분의 영과 함께 하기를 빕니다.

 

빌레몬서?

 

바울의 다른 서신들은 모두 교회에 보내는 편지

빌레몬서만이 개인에게 보내는 편지

빌레몬서는 개인적인 편지이나 동시에 사도적 서신이다.

순전히 개인적인 문제가 아닌 사회적인 노예문제를 다루고 있다.

 

 

1. 수신자

 

* 수신자 빌레몬

- 브리기아의 어떤 성읍에 살고 있던 젊고, 유복한, 존경받는 기독교인

- 그의 집은 가정교회로 사용되고 있음(2)

- 또 다른 수신자인 압비아는 빌레몬의 아내로 추정됨

- 빌레몬은 바울에 의해 개종된 사람(19)

 

2. 기록시기와 장소

* 바울은 이 편지를 옥중에서 기록했다 (1)

- 로마에서 갇혀있던 때(61-63)를 가리킴

- 빌레몬 23, 골로새서 4:10-14 에바브라, 마가, 아리스다고, 데마, 누가 언급

골로새서 4:9 오네시모가 언급

골로새서와 빌레몬서는 거의 같은 시기에 기록된 것으로 생각됨

 

 

3. 동기와 목적

 

* 오네시모

- 무엇인가를 훔친 후에, 혹은 주인에게 상당한 손해를 입힌 후에 도망나온 노예

(11,18)

- 도망하여 로마로 옴 당시 로마는 도망자나 무법자들의 도피처

- 바울은 오네시모에게 피난처를 제공함, 기독교로 개종시킴

오네시모를 아들이라고 부름(10)

 

* 바울의 대처

- 오네시모를 계속 곁에 두고 싶었지만 주인인 빌레몬에게 돌려보내기로 결심

(14, 16)

- 바울은 편지를 써서 빌레몬에게 오네시모를 다시 영접해 줄 것을

노예로서가 아니라 사랑하는 형제로 받아 줄 것을 부탁

결국 바울은 법이 허용한 가혹한 형벌을 가하지 말도록 부탁한 것이다.

- 바울은 빌레몬이 받는 손해를 갚아주겠다고 하였고,

오네시모를 다시 자신에게 돌려보내 달라고 하였다(13-14)

 

4. 빌레몬서의 의의

 

* 왜 빌레몬서가 정경에 포함되었는가?

고대 주석가들은 목회적인 그리고 신학적인 관심이 별로 나타나지 않은 이 개인적인 편지를 왜 정경에 포함시켰는지에 대해 의문을 가졌었다.

 

결국 사회문제에 관한 중요한 교훈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

     노예문제를 정면으로 다루고 있다.

 

 

* 빌레몬서를 통해 배울 점

 

1. 바울은 법적으로 아무런 보호도 받을 수 없는 노예 신분의 오네시모에 대해

따뜻한 인간적 애정을 보여주고 있다.

 

2. 바울은 오네시모를 빌레몬에게 되돌려 보냄으로써

기존 사회질서를 개혁하지 않고 그대로 받아들이고 있다.

 

3. 노예의 주인도 그리스도 안에서 종이 되었으며,

노예도 그리스도 안에서는 자유인이다.

이런 관점에서 주인이나 노예가 다 그리스도 안에서 형제가 될 수 있다.

 

4. 노예를 노예로서가 아니라 사랑하는 형제로, 참된 인격으로 인정하는 이런 정신은

모든 시대의 노예들에게 진정 참된 복음이 되었다.

노예 제도의 사슬을 깨뜨리는데 역할을 함

 

 

참조 김득중, [신약성서개론], 컨콜디아사, 200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1 수요성서대학 3월 13일 - 골로새서 - 좋은만남 2013.03.15 350
170 10. 가인의 표식 (5) - * 창세기 이야기 1 / 김민웅 저 좋은만남 2013.03.09 324
» 수요성서대학 3월 6일 - 빌레몬서 - 좋은만남 2013.03.06 302
168 10. 가인의 표식 (4) - * 창세기 이야기 1 / 김민웅 저 좋은만남 2013.03.01 280
167 10. 가인의 표식 (3) - * 창세기 이야기 1 / 김민웅 저 좋은만남 2013.03.01 275
166 10. 가인의 표식 (2) - * 창세기 이야기 1 / 김민웅 저 좋은만남 2013.02.01 259
165 10. 가인의 표식 (1) - * 창세기 이야기 1 / 김민웅 저 좋은만남 2013.01.27 307
164 9. 형제를 죽이다 (5) - * 창세기 이야기 1 / 김민웅 저 좋은만남 2013.01.21 239
163 9. 형제를 죽이다 (4) - * 창세기 이야기 1 / 김민웅 저 좋은만남 2013.01.13 385
162 9. 형제를 죽이다 (3) - * 창세기 이야기 1 / 김민웅 저 좋은만남 2013.01.04 280
161 9. 형제를 죽이다 (3) - * 창세기 이야기 1 / 김민웅 저 좋은만남 2013.01.04 287
160 9. 형제를 죽이다 (2) - * 창세기 이야기 1 / 김민웅 저 좋은만남 2013.01.04 343
159 9. 형제를 죽이다 (1) - * 창세기 이야기 1 / 김민웅 저 좋은만남 2013.01.04 335
158 8. 에덴의 동쪽으로 열린길 (5) - * 창세기 이야기 1 / 김민웅 저 좋은만남 2013.01.04 385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21 Next
/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