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3월 27일(수) 좋은만남교회 수요성서대학 / 강사: 이관택 전도사
에베소 서신
1. 문학적인 문제
* 2세기 이 후로 이 서신은 “에베소에 보내진 서신”으로 알려짐
- 에베소서의 가장 오래된 사본들에는 1:1 “에베소서에 있는”이란 문구가 없다
→ 200년 경 체스터 비티 파피루스
4세기 시내사본, 바티칸 사본
- 2세기 중엽 이단자 말시온은 이 서신을 라오디게아 서신이라고 부름
→ “라오디게아에 있는”이란 문구가 1:1에 들어있는 사본을 갖고 있었거나
골로새서 4:16 라오디게아에서 오는 편지라고 한 말에서 추측
- 3세기 위대한 성서 학자였던 오리겐
→ 사본들에는 “에베소서에 있는”이란 말이 없었다.
- 4세기 바실과 제롬
→ 그들이 가진 가장 훌륭한 사본들에는 “에베소서에 있는”이란 말이 없었다.
* 1:1 “에베소에 있는”이란 말과 서신의 명칭을 제거하면 에베소로 보내진 서시이라는 증거가 거의 없다.
→ 바울이 3년 동안이나 에베소에 살면서 활동했다는 사실을 염두해 볼 때
자신이 지냈던 교회에서 가까운 사람들에게 한마디의 인사말도 없었다는 점
독자들 중 많은 이들에 대해 바울 자신도 잘 알고 있지 못한 것 같이 기록된 점
* 그렇다면 이 편지는 어디로 보내진 것인가? 확실히 알 수는 없다.
- 아시아의 로마주에 있는 여러 교회들에게 보내졌을 것으로 추정
→ 1:1에 공백이 있어서 서신이 가는 곳의 지명을 써 넣을 수 있었다.
- 지명이 다른 서신의 사본들이 있었는데 에베소로 가는 서신이 가장 인정받았다.
→ 에베소 교회가 가장 중요한 모교회의 위치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 에베소서는 특정한 교회에 보낸 것이 아니라 기독교인이면 누구라도 읽을 수 있게 한 “회람편지” 형태이거나 편지형식의 신앙적인 소책자일 것이라 생각된다.
2. 골로새서와의 관계
* 신약성서 27권 중 에베소서와 골로새서는 유사점이 가장 많다.
- 에베소서의 155구절 중 거의 절반이 골로새서의 본문과 평행을 이루고 있다
- 전체적 구조도 비슷 → 자매 서신, 쌍둥이 서신이라고 불린다.
→ 에베소서 전반부(1-3장) 교리적 부분, 후반부(4-6장) 윤리적 부분
골로새서 전반부(1-2장) 교리적 부분, 후반부(3-4장) 윤리적 부분
→ 두 서신 모두 그리스도의 영광과 그의 목적을 다루는 교리적 항목에서 출발
그것을 개인의 생활에 적용시키고
마지막으로 인간관계에 대한 비슷한 권면으로 끝을 맺음
→ 서신 첫부분 - 독자들에 대한 감사와 그들을 위한 기도
(엡1:15 이하 / 골 1:3 이하)
→ 기독교인의 생활은 옛사람을 벗어버리고 새사람을 입는 것으로 말함
(엡 4:17 이하 / 골 3:5 이하)
→ 남편과 아내, 부모와 자녀, 종과 주인에 대한 권고
(엡 5:22-6:9 / 골 3:18-4:1)
* 서로 다른 점
- 에베소서는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의 장엄함을 나타냄
- 골로새서는 교회의 머리인 그리스도의 위엄을 나타냄
→ 에베소서는 교회론, 골로새서는 기독론
- 골로새서는 논쟁적 에베소서는 고요하고 명상적
3. 저자 문제
* 바울 저작에 대한 의심
- 초기 기독교에서는 골로새서가 바울의 기록이라고 믿음
→ 바울자신이 자기가 기록했다고 언급(1:1, 3:1)
→ 이레니우스, 클레멘트 같은 이들도 바울의 저작으로 인정
- 18세기 말경에 들어서서 많은 학자들이 의심을 함
→ 1. 언어와 문체가 바울의 주요서신들과 다름
→ 다른 서신에서 사용되지 않는 단어들이 많이 등장
2. 에베소서가 골로새서를 복사 한 것 같은 인상을 받는다.
→ 바울은 다른 문서에서 이전의 문서를 복사한 것 같은 경우가 없다.
3. 에베소서의 교리와 신학이 바울의 다른 서신의 것과 다르다.
→ 그리스도의 죽음보다 부활과 승천이 더 강조 - 영광의 신학
4. ‘재림’이 다른 서신에서는 강조가 되는데, 에베소서에서는 언급이 없다.
5. ‘교회’란 말이 에베소서에서는 보편적인 교회에 대해서 사용
다른 서신들에는 주로 개체교회들을 가리키고 있다.
* 바울 저작설
- 에베소서와 골로새서가 마치 갈라디아서와 로마서의 관계와 비슷하다.
→ 갈라디아서에서 바울이 율법과 기독교인의 관계의 위기를 다룸
→ 로마서에서는 칭의와 율법이란 넓은 주제를 다룸
→ 골로새서는 많은 “세력들”, “정세들”에 직면하여 세상 안에서의
그리스도의 위치의 독특성에 관해 교회가 당연한 구체적인 문를 다룸
→ 에베소서는 교회의 통일성과 보편성을 다룸
4. 내용 개요
1) 인사와 감사와 중재 기도.
1:1-2 인사
1:3-14 감사
→ 하나님의 비밀=우리 모두가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 됨
1:15-23 중재 기도
→ 그리스도=교회의 머리, 교회=그리스도의 몸
2) “하나의 거룩한 교회”의 영광(2:1-3:21)
2:1-10 우리는 은혜 가운데서 믿음으로 구원을 받았다
→ 교회의 영광의 근거는 모든 인간이 은혜 가운데서 믿음으로 구원받아
교회로 인도된 데 있다
2:11-22 우리는 유대인이나 이방인이나 모두가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
3:1-21 이방인을 위한 중재 기도
→ 그리스도의 비밀=이방인도 복음을 통해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함께
상속자가 되고 약속에 참여하게 됨
3) 권면과 교훈(4:1-6:20)
4:1-16 신앙과 교회의 통일성
→ 몸, 성령, 희망, 주, 믿음, 세례, 하나님이 모두 하나
그리스도의 몸을 채우기 위해 사도, 예언자, 전도자, 목사, 교사를
세웠으니 모두 한 몸의 지체
4:17-32 옛 사람을 벗어버리고 새 사람을 입어야 할 필요성
5:1-7 악의 목록
5:8-20 덕의 목록
5:21-6:9 가정 법전(골 3:18-4:6)
6:10-20 하나님의 전신 갑주와 기독교인의 전투
4) 두기고에 대한 마지막 언급과 마지막 축도(6:2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