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이 잘못 알고 있는 것 중의 하나는 노인이 되면 으레 한두 가지의 질병을 앓게 된다는 생각이다.
그런데 문제는 그런 증상을 병으로 보지 않고 자연퇴화현상으로 파악하는 데 있다. 혈압은 연령 증가와 더불어 높아져 가며 따라서 노년층으로 갈수록 고혈압의 빈도는 높아진다.
노인에서의 고혈압이 생기는 원인도 젊은 사람들과 큰 차이는 없다. 그러나 말초혈관의 저항이 커지는 것이 중요한 윈인이 되며, 그 밖에도 동맥경화, 대동맥 석회화 및 경직, 그리고 동맥의 탄력성감소가 원인이 된다.
노인에서의 고혈압은 흔히 나타나는 질환이지만 결코 정상상태가 아닌 병적 상태이다. 치료를 하지 않으면 당연히 중대한 합병증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노인에서의 고혈압 치료도 젊은 사람들과 특별한 차이는 없다. 적절한 운동은 말초혈관저항을 줄여 주므로 권장되고, 저염식과 적당한 약제를 선택하여야 한다.
그러나 요인은 여러 약제에 특히 예민하여 약제의 선택과 치료를 시작할 때 약물 용량을 젊은 사람들보다 줄여서 사용해야 하며, 혈압강하도 서서히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