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회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 개막작 '둥근장막'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 심사위원회(영화제 심사위)는 오는 4월4일 개막되어 나흘 간 열리게 될 10회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에서 상영할 영화들을 선정했다. 지난 1월 10일부터 2월 15일까지 약 한달간 공개모집하여 마감일까지 56편의 영상들이 모집되었다.
영화제 심사위는 모집 기간이 종료된 2월 중순부터 심사를 시작해서 장애인의 인권과 오늘을 살아가는 장애인의 치열한 삶의 모습을 잘 그려낸 15편의 상영작을 선정해 발표했다. 선정된 작품은 아래의 표와 같다.
이번 개막작으로 선정된 ‘둥근장막’에 대해 “영화 ‘도가니’로 다시 촉발된 광주 인화학교 성폭력 문제와 시설비리 척결의 문제를 광주 인화학교성폭력대책위를 비롯한 운동단체들의 투쟁의 모습을 선명하게 그려낸 작품”이었다며 개막작으로 선정한 이유이다.
또 폐막작으로 선정된 ‘이 부부가 사는 법’은 중증장애를 가진 부부의 이야기를 그린 다큐멘터리 작품으로 결혼은 했지만 기초법 부양의무제 때문에 혼인신고조차 못하고 살아가는 중증장애인 부부가 주민센터 등을 쫓아다니며 기초법 제도의 불합리성을 고발한 작품이다.
이 외에도 여러 장르로 표현된 장애인인권영화들이 영화제 10년을 기념하는 역대 영화제 상영작 등과 함께 그외 : 전태일열사 어머니, 오순도순 공부방
10회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 상영 시간표
▷ 4월 4일(수)(종각역 보신각) 화: 화면해설, 관: 관객과의 대화
▷ 4월 5일(목)(대학로 혜화 CGV)
▷ 4월 6일(금)(대학로 혜화 CGV)
▷ 4월 7일(토)(대학로 혜화 CGV)
|
부대행사
10년의 역사,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 토론회
일시: 3월 28일 오후 2시
장소: 이룸센터 2층 회의실2
-기조: 영화제 10주년을 되돌아보고 재조명하자.
-주제: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의 특징과 10년의 역사
-사회: 미소 (장애와 인권 발바닥행동)
-발제: 상영작 중심으로 영화제와 장애운동이 발전해온 방향_최재호(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
-토론:
미디어교육 관련 출발과 현재, 영화제가 어떤 역할을 해야하나_박종필
장애인문화운동관련해 영화제가 해왔던 역할_이진희(장애여성공감)
지역영화제_강릉장애인인권영화제
다른 영화제에서 바라본
장애인인권영화제_김일숙(인권영화제)
진보넷 소셜펀치에서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 후원금을 받고 있습니다.
작은 물방울이 모여 큰 강을 이루듯이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의 후원인이 되어 또다시 10년을 향해 첫발을 내딛는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를 향하여 큰 소리로 Ready go!를 외쳐주세요
후원계좌 - 우리은행 1005-101-917894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
주소 : 서울시 영등포구 당산동 3가 395-25 한얼빌딩 3층 전화 : 02) 929 - 9890
팩스: 02-6008-5789 / 이메일: 420sdff@naver.com
-개요-
▷ 명 칭 : 10회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
▷ 주 최 : 420장애인차별철폐공동투쟁단
▷ 주 관 :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집행위원회
▷ 일 시 : 2012. 4. 4(수) ~ 7(토)
▷ 장 소 : 개막작: 4월 4일
종각역 보신각 오후 6시 둥근 장막
폐막작: 4월 7일 대학로 혜화 CGV 지하(무비꼴라쥬) 오후 6시 이 부부가 사는
법
5일_7일 대학로 CGV (무비꼴라쥬)
▷ 타 이 틀 : 차별에 저항하라
▷ 슬 로 건 : 내딛고 Ready go
▷
홈페이지 : www.420sdff.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