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만남교회

조회 수 65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안소니 드 멜로 지음 / 김상준 옮김 / 분도출판사

이 시대 잊혀진 영성을 회복하기 위하여 깨달음의 영성을 소개합니다. 깨어있는 성도도 성숙하기 위하여 연재하는 이 글을 통해 영성의 세계로 나아가십시오.

1045-1107

영속적 가치 1

 또 다른 생각으로 넘어가 보면, 각자의 인간 가치라는 중대사가 있습니다. 개인의 가치란 자기 가치를 뜻하지 않습니다. 어디서 자기 가치를 얻습니까? 사업의 성공에서? 많은 돈을 버는 데서? (여자라면) 많은 남자들의, (남자라면) 많은 여자들의 마음을 끄는 데서? 그 모두 얼마나 덧없습니까. 자기 가치를 말할 때 우리는 사실상 남들의 정신의 거울에 우리가 어떻게 비치는가를 말하고 있는 거잖아요? 이런 일시적인 것들과 동일화하지 않을 때, 이런 것들에 자기를 한정시키지 않을 때 각지의 인간 가치를 이해하게 됩니다. 모두들 아름답다고 말해준다고 해서 내가 아름다운 건 아닙니다. 나는 실상 아름답지도 추하지도 않습니다. 그런 것들을 오고 갑니다. 내일 갑자기 추물로 변할 수도 있지만 나는 여전히 나입니다. 그랬다가 성형수술을 받아 다시 아름다워진다고 합시다. 정말 내가 아름다워집니까? 이런 것들을 반성하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할 필요가 있습니다. 나는 얼른 지나가며 던져 드리듯 했습니다마는, 시간을 내어 내가 말한 바를 깊이 생각해 본다면 거기서 금광을 발견하실 겁니다. 나는 그걸 압니다. 내가 그런 것과 처음 마주쳤을 때 노다지를 발견했으니까요.

기쁜 체험들은 삶을 즐겁게 합니다. 고통스런 체험들은 성장으로 이끕니다. 기쁜 체험들은 삶을 즐겁게 하지만 그 자체가 성숙을 낳지는 않습니다. 성장하게 하는 것은 고통스런 체험들입니다. 고통은 자기 안에 있는 어떤 영역, 성장하고 변형될 필요가 있는 미숙한 영역을 가리켜 줍니다. 고통을 이용할 줄 안다면, 오, 얼마나 성장 할지 모릅니다. 당분간은 심리적 고통에, 우리의 온갖 부정적 감정들에 한정합시다. 그중 단 하나에 시간을 허비하지는 마십시오. 그런 감정들을 어떻게 처리할 수 있겠는지는 이미 말했습니다. 마음대로 되지 않을 때 겪는 실망을 살펴보십시오! 그것이 자기에 대해 무얼 말하는지 주시하십시오. 단죄는 없이(단죄하면 자기 혐오에 사로잡힐 테니까). 남에게서 보듯이 관찰하십시오. 비판받을 때 겪는 그 실망, 그 우울을 바라보십시오. 그것이 자기에 대해 무엇을 말하고 있습니까?  (다음에 계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