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만남교회

조회 수 28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본문 : 마태복음 20,1-16

1 "하늘 나라는 자기 포도원에서 일할 일꾼을 고용하려고 이른 아침에 집을 나선 어떤 포도원 주인과 같다. 2 그는 품삯을 하루에 한 데나리온으로 일꾼들과 합의하고, 그들을 자기 포도원으로 보냈다. 3 그리고서 아홉 시쯤에 나가서 보니, 사람들이 장터에 빈둥거리며 서 있었다. 4 그는 그들에게 말하기를 '여러분도 포도원에 가서 일을 하시오. 적당한 품삯을 주겠소' 하였다. 5 그래서 그들이 일을 하러 떠났다. 주인이 다시 열두 시와 오후 세 시쯤에 나가서 그렇게 하였다. 6 오후 다섯 시쯤에 주인이 또 나가 보니, 아직도 빈둥거리고 있는 사람들이 있어서, 그들에게 '왜 당신들은 온종일 이렇게 하는 일 없이 빈둥거리고 있소?' 하고 물었다. 7 그들이 그에게 대답하기를 '아무도 우리에게 일을 시켜주지 않아서, 이러고 있습니다' 하였다. 그래서 그는 '당신들도 포도원에 가서 일을 하시오' 하고 말하였다. 8 저녁이 되니, 포도원 주인이 자기 관리인에게 말하기를 '일꾼들을 불러, 맨 나중에 온 사람들부터 시작하여, 맨 먼저 온 사람들에게까지, 품삯을 치르시오' 하였다. 9 오후 다섯 시쯤부터 일을 한 일꾼들이 와서, 한 데나리온씩을 받았다. 10 그런데 맨 처음에 와서 일을 한 사람들은, 은근히 좀 더 받으려니 하고 생각하였는데, 그들도 한 데나리온씩을 받았다. 11 그들은 받고 나서, 주인에게 투덜거리며 말하였다. 12 '마지막에 온 이 사람들은 한 시간밖에 일하지 않았는데도, 찌는 더위 속에서 온종일 수고한 우리들과 똑같이 대우하였습니다.' 13 그러자 주인이 그들 가운데 한 사람에게 말하기를 '이보시오, 나는 당신을 부당하게 대한 것이 아니오. 당신은 나와 한 데나리온으로 합의하지 않았소? 14 당신의 품삯이나 받아 가지고 돌아가시오. 당신에게 주는 것과 꼭 같이 이 마지막 사람에게 주는 것이 내 뜻이오. 15 내 것을 가지고 내 뜻대로 할 수 없다는 말이오? 내가 후하기 때문에, 그것이 당신 눈에 거슬리오?' 하였다. 16 이와 같이 꼴찌들이 첫째가 되고, 첫째들이 꼴찌가 될 것이다."

 

제목 : 노동자는 기계가 아니다!

 

들어가며 : 하나님 말씀을 마음에 품고 예수 그리스도의 길을 따르는 이 땅의 모든 성도들과 하나님 나라가 이루어지기를 고대하며 헌신하는 자녀들에게 하나님의 사랑과 자비가 넘치도록 임하시기를 성어버이 성자 성령의 이름으로 축원합니다.

지난 주일에 김장 담그시느라 고생들 많이 하셨습니다. 무채 강판이라도 갈았어야 하는데 저는 지난 주일에 주일예배를 마치자마자 서울광장에서 하는 행사에 참여하기 위해서 달려갔었습니다. 서울광장에서 나눔을 주제로 여러 부스를 설치하고 NGO 단체의 활동을 홍보하는 행사였는데 제가 일하는 함께나누는세상도 참여하기로 하여, 여러분들이 김장 담그시느라 고생하시는 데도 불구하고 부득이 교회를 비울 수밖에 없었습니다. 덕분에 이번 겨울에도 맛난 김치를 먹을 수 있을 줄로 믿고 감사합니다.

 

들어가서 : 서울광장에서 행사를 하다가 화장실을 가는 길에 광장 한 켠에 농성천막이 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기아자동차 비정규직 농성천막이었습니다. 그걸 보는 순간에 깜짝 놀랐습니다. 시청 맞은편의 국가인권위원회 건물 옥상의 전광판 위에 기아자동차 비정규직 노동자 두 명이 올라가 정규직화를 요구하는 고공농성을 하고 있으며 얼마 전 예수살기에서 전광판 위에 올라가 농성중인 분들을 만나 위로와 격려의 기도를 나누고 왔다는 말을 들었는데, 그 자리를 지나면서 누군가 지금 목숨을 걸고 부당한 노동행위에 대해 앞장서 싸우고 있는데 그런 사실을 잠시나마 까맣게 잊고 있었다는 사실이 저는 매우 부끄러웠습니다.

2014년 통계에 의하면 전체 노동자의 52%에 해당하는 천만 명이 비정규직이라고 합니다. 그 두 분의 싸움은 개인의 싸움이 아니라 한국의 천만 비정규직 노동자들, 그들을 대신해 싸우는 그리스도적 싸움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러나 그 자리를 지나는 사람들의 표정을 보니 누군가 그런 싸움을 그 곳에서 목숨 걸고 하고 있다는 사실, 어쩌면 그 자신을 대신한 싸움이라는 사실을 대부분 모르는 것 같았고 천막과 비닐로 휘감겨진 농성장을 지저분하다는 눈길로 쳐다보는 것 같았습니다.

벌써 45년이나 지났네요. 19701113, 청계천 한 켠에서 전태일이라는 봉제노동자가 온 몸에 기름을 부은 후 불을 당기고 근로기준법을 준수하라, 노동자는 기계가 아니다!’라고 외치면서 분신을 하였습니다. 감리교 교인이기도 했던 전태일은 청계천 봉제노동자들이 당하는 온갖 부당한 대우, 열악한 노동환경, 업체를 제대로 감독하지 않고, 노동자를 보호하지도 않는 국가에 저항하는 뜻으로 근로기준법전을 들고 분신하였습니다. 그의 죽음은 수많은 노동자들과 지식인들의 감겨져있던 눈을 뜨게 만들었고 움츠렸던 어깨를 펴게 만들었으며 한국 노동운동이 새로운 단계로 진입하도록 하였습니다. 노동조합결성 바람이 불었으며 노동자들이 사회변혁의 주체로 나서기 시작하였고 노동자들이 함께 모여 연대하면 세상을 바꾸고 노동자의 지위를 바꿀 수 있다는 것을 체험하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래서 어떤 사람들은 전태일을 작은 예수 그리스도라고도 하였습니다.

그렇다면 전태일이 분신한지 45년이 지난 2015년은 어떨까요? 참으로 기가 막힙니다. 노동자는 정규직과 비정규직으로 나뉘었고 정규직은 자기들 밥그릇 지키기에만 여념이 없고 비정규직은 정규직의 반도 안 되는 임금을 받으며 정규직과 똑같은 일을 하고 있습니다. 여기저기 비정규직 노동자의 농성이 벌어지고 있지만 별로 알려지지도 않고 있습니다. 정부와 대통령은 노동개혁이라는 명목으로 노동자의 임금을 깎고 기업 마음대로 노동자를 해고할 수 있게 법을 뜯어고치고자 합니다. 아웃소싱이란 이름의 외부하청으로 저임금의 비정규직을 고용하는 것도 합법으로 만들었습니다. 그나마도 임금피크제를 앞세운 일자리나눔 명목으로 세대 간에 경쟁을 붙여 제한된 일자리를 놓고 싸우게 만들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청년들은 N포세대라는 별명을 얻었고 이런 한국을 헬조선이라 규정하였으며 탈조선을 꿈꾸고 있습니다.

45년 전에 전태일이 외쳤던 노동자는 기계가 아니다라는 말을 새삼스럽게 생각해봅니다. 이게 어떤 의미였을까요? 기계는 감정이 없습니다. 기계는 쉴 필요가 없습니다. 기계는 비용이 저렴합니다. 기계는 힘이 셉니다. 기계는 언제든지 갈아치우든가 부품을 갈아 끼울 수가 있습니다. 기계는 군소리를 하지 않고 시키는 대로 합니다. 기계는 위험한 일도 거부하지 않습니다. 세상과 기업은 사람더러 기계가 되라고 요구하고 있습니다. 요즘은 누가 더 기계적인 사람인지를 구인의 기준으로 삼는 것 같습니다. 감정 없이, 쉬지 않고, 싼 임금으로, 군소리하지 않고, 위험한 일도 마다하지 않으며, 언제라도 해고할 수 있는 그런 사람으로 균일하게 만들고 그런 사람을 기꺼이 뽑아 쓰려는 시대입니다. 그러나 노동자는 기계가 아니라 사람입니다. 사람은 절대 기계가 될 수 없습니다. 무엇보다도 사람은 하나님의 피조물이며 하나님을 기쁘시게 한 소중한 존재입니다. 결코 기계가 될 수 없으며 기계가 되어서도 안 되는 존재입니다. 그럼에도 45년 전 노동자는 기계가 아니다라는 전태일의 외침은 오늘에도 여전히 우리의 가슴에 아프게 울리고 있습니다.

사람의 노동을 계산하는 법이 두 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사람의 노동이 얼마만큼 생산했느냐 계산하는 것으로 이것을 노동력이라고 합니다. 노동력은 노동시간과 생산량으로 따져 계산하고 그에 따라 임금을 결정하게 됩니다. 우리가 익숙한 자본주의의 방식입니다. 다른 하나는 노동력이 아니라 노동 자체의 가치를 계산하는 것입니다. 얼마만큼 생산했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노동 그 자체가 이미 가치 있는 것이라고 믿고, 노동하는 사람이라면 그 사람과 그 가족이 생존하기에 필요한 것을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오늘 읽은 성서에 나온 예수님의 방식입니다.

이른 아침에 인력시장에 일용노동자들이 나와서 자기를 데려갈 사람을 기다립니다. 어떤 사람은 뽑혀갔지만 뽑히지 못한 사람들도 적지 않습니다. 뽑히지 못한 사람은 아마 기술이 없거나, 건강해보이지 않는 사람들이겠지요. 그런데 오늘 말씀을 보니 주변머리도 없어요. 어차피 일하러 가긴 틀렸는데도 그 자리에서 서성이면서 시간이나 죽이고 있는 그런 사람들입니다. 일하러 간 사람들이나 일하러 가지 못한 사람들이나 그들의 머릿속에는 오직 한 가지 생각이 있을 겁니다. ‘오늘 일하지 못하면 가족이 굶는다는 것 말입니다. 그들의 노동은 그들 가족의 생계입니다. 뽑혀 가지 못한 사람이 인력시장을 떠나지 못하고 서성일 때 기분은 어떨까요? 어쩌면 그런 날이 며칠 째 되었을 지도 모릅니다. 무능하고 무력하고 주변머리 없는 사람과 그 가족은 굶어 죽어도 상관없는 것일까요? 오늘날의 자본주의는 그냥 죽으라고 합니다.

예수님은 전혀 다른 이야기를 하십니다. 4절을 보니 적당한 품삯을 주겠다고 합니다. 예수님이 생각하는 적당한 품삯은 얼마일까요? 8시간을 일한 사람이나 4시간을 일한 사람이나 혹은 1시간을 일한 사람이나 모두 적당한 품삯은 한 데나리온, 하루치 품값, 한 가족이 하루를 살기 위해 필요한 최소 금액, 요즘으로 말하면 최저생계비입니다. 그가 포도원에서 얼마만큼을 생산했고 얼마만큼을 일했느냐 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가 가족을 먹여 살리기 위해 일했다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그것은 마땅히 주어져야 하는 것이라는 말씀입니다. 노동은 돈으로 환산할 수 없는 성스러운 것임을 암시하는 것입니다.

기계는 그 일한 노동량을 계산할 수 있지만 사람의 노동은 노동량, 노동력으로 계산해서는 안 된다는 것입니다. 말이 안 돼 보이죠? 그러면 기업을 어떻게 운영하고 이익을 어떻게 남기냐? 적게 주고 많이 부려먹어야 이익이 남겠죠. 이렇게 해야 1등 기업이 되겠지요? 거기에 비하면 적게 일해도 똑같이 주는 계산법은 만년 꼴등 기업이 될 것입니다. 그렇지만 예수님은 분명하게 말씀하십니다. ‘꼴찌들이 첫째가 될 것이고 첫째들이 꼴찌가 될 것이다!’ 말도 안 돼 보이지만 이것이 하늘나라의 법입니다. 돈 중심이 아니라 사람 중심입니다. 예수님은 기도를 가르치실 때도 오늘 우리에게 필요한 양식을 내려주시고(오늘 우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시옵고)’라고 기도하라고 하십니다. 일을 많이 하건 적게 하건 혹은 전혀 하지 못하였건 생존을 위한 그날 그날의 먹거리는 반드시 필요합니다. 그것은 어느 누구에게나 주어져야 하는 것입니다. 예수님은 노동자를 기계로 본 것이 아니라 사람으로 보시고 계십니다. 그리고 우리에게도 노동자가 사람이라고 분명하게 말씀하시고 계십니다.

말씀을 시작하면서 한국의 비정규직이 전체 노동자의 52%로 천만 명이라고 하였습니다. 똑같은 일을 하는 두 사람 중 한 사람은 사람이 아니라 기계 취급을 받고 있다는 말입니다. 감정 따위는 무시당하면서, 위험한 일이건 아니건 쉴 틈도 없이, 그나마도 언제 짤릴 지 모르는 불안감을 안고 노동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전망은 더욱 어둡기만 합니다. 그동안은 비정규직을 2년 하면 정규직으로 전환해줘야 한다는 법이 있었지만 현 정부의 노동개혁은 4년으로 연장한다고 합니다. 그러면 비정규직의 비율이 더욱 늘어날 것입니다.

올해 만 60세가 된 대학교 환경미화원 청소노동자인 장보아님이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에 나와 밝힌 이야기는 참으로 가슴이 아픕니다. 최저임금 5,580원 월 수령액은 1,166,220! 그나마도 노조가 생겨서 이렇게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몸이 아파 병원에 가면 20만원 하는 CT를 찍어보자고 하고 더 비싼 MRI를 찍자고 한답니다. 일하다 다쳐도 산재처리 같은 것은 없습니다. 오래 휴가를 내게 되면 그냥 푹~ 쉬라고 한답니다. 당연히 아픈 것을 참고 일을 하겠지요. 청소용품을 사달라고 하면 회사 망한다며 큰소리 치고 꾸짖는답니다. 할 수 없이 자기가 사서 한답니다. 따지면 전환배치를 당하고요. 기가 막힌 것은 관리자가 여자 청소원들에게 하루 두 끼씩 밥을 해달라고 한답니다. 노동자들이 돈을 걷어서 밥을 해 올리면 생선이 없다, 국이 없다 요구한답니다. 무시할 수 없는 것이 노동자들의 현실이라고 하고요.

장보아님은 끝으로 이렇게 말합니다. “이 사회에 병균처럼 살아 숨 쉬는 정규직과 비정규직으로 우리도 그리고 세상 곳곳 많은 분들도 고통당하고 있어요. 지금도 농성중인 현장 많습니다. 여러분, 내 일이 아니라 남의 일이라고 생각하지 마시고 비정규직에 종사하시는 분들의 한 맺힌 소리에 귀 기울여 주시기 바랍니다.”

 

나가며 : 오늘의 이 아비규환의 현장을 목도하는 우리 기독교인들의 기도제목은 무엇이 돼야 할까요? 전태일은 노동자는 기계가 아니라고 절규하였고 예수님도 노동자가 사람이라고 하셨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인간의 탐욕은 노동자를 사람으로 보지 않고 기계로 만들려고 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의 소중한 피조물이자 자녀들이 기계가 될 수는 없습니다. 우리 교회 교우들의 사정도 크게 다르지 않을 것입니다. 비정규직, 비정규직 같은 정규직, 저임금직, 임시적 고용, 불안한 고용상태... 우리 자신이 먼저 소중한 존재라는 자부심을 갖고 우리의 이웃의 문제에도 관심을 가져야 하겠습니다. 인간의 탐욕이 세상을 망치고, 하나님의 자녀들을 망치고, 우리의 신앙에 도전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반드시 하나님의 정의가 승리하도록 기도하고 투쟁하고 연대할 것입니다.

이 땅의 모든 비정규직, 노동과 고용의 문제로 힘겨워하는 우리의 이웃과, 그들의 고난을 이해하고 동참하려는 사랑하는 자녀들에게 위로와 용기를 주시기를 성어버이 성자 성령의 이름으로 축원합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9 사회적 성화를 위해 함께 드리는 기도(1213) 좋은만남 2015.12.16 66
28 사회적 성화를 위해 함께 드리는 기도(1220) 좋은만남 2015.12.27 68
27 사회적 성화를 위해 함께 드리는 기도(1227) 좋은만남 2016.01.03 69
26 사회적 성화를 위해 함께 드리는 기도(0103) 좋은만남 2016.01.11 128
25 "하나님만 믿으면 돼지, 교회는 왜 나가야 하나요?" 누가복음 10,17-20 / 방현섭 목사 방현섭 2016.03.06 326
24 "부자가 되는 것이 전부는 아닙니다" 열왕기하 14:23-28 / 방현섭 목사 방현섭 2016.03.06 215
23 "하나님이 밥 멕여 주냐!" 마태복음 6,31-33 / 방현섭 목사 방현섭 2016.03.06 222
» "노동자는 기계가 아니다!" 마태복음 20,1-16 / 방현섭 목사 방현섭 2016.03.06 282
21 "우리는 왕을 원하지 않는다" 사무엘상 8,10-19 / 방현섭 목사 방현섭 2016.03.06 176
20 "생명을 살게 하는 찬양" 시편 119편 171~175절 / 방현섭 목사 방현섭 2016.03.06 295
19 "새사람으로 마무리합시다" 에베소서 4,24 / 방현섭 목사 방현섭 2016.03.06 177
18 "처음 만났던 그 자리로" 마태복음 28,5-8 / 방현섭 목사 방현섭 2016.03.06 313
17 "예수의 길을 함께 걷는 즐거움" 마태복음 11:28~30 / 방현섭 목사 방현섭 2016.03.06 327
16 "복된 인생을 살려면" 마태복음 5장 3~12절 / 방현섭 목사 방현섭 2016.03.06 254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Next
/ 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