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린도전서 8:1-6
1 우상에게 바친 고기에 관하여 말하겠습니다. 우리는 우리 모두가 지식이 있는 줄로 압니다. 지식은 사람을 교만하게 하고, 사랑은 덕을 세웁니다. 2 자기가 무엇을 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아직도 그가 마땅히 알아야 할 것을 알지 못하는 사람입니다. 3 그러나 하나님을 사랑하는 사람은, 하나님께서 그를 알아 주십니다. 4 ○그런데 우상에게 바친 고기를 먹는 일을 두고 말하면, 우리가 알기로는, 세상에 우상이란 것은 아무것도 아니고, 오직 하나님 한 분 밖에는 신이 없습니다. 5 남들은 신도 많고 주도 많다고 하고, 이른바 신이라는 것들이 하늘에도 있고 땅에도 있다고 하지만, 6 우리에게는 아버지가 되시는 하나님 한 분이 계실 뿐입니다. 만물이 그분에게서 생겼고, 우리는 그분을 위해서 있습니다. 또한 한 분 주님이신 예수 그리스도가 계시니, 만물이 그로 말미암아 있고, 우리도 그로 말미암아 있습니다.
"신앙의 대전제"
고린도교회에는 소동과 의견대립이 있었습니다. 옛사람을 벗어버리고 새사람을 입어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거듭난 존재로써 살아가고자 결단한 이들이 먹고 마시는 것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하는 것이 문제였습니다. 소위 우상숭배를 위해 우상의 제단에 제물로 올렸던 고기를 먹어야 하는지 아니면 단호하게 거부하여 음식물로 불결하게 되는 것을 피해야 하는 지로 갈등이 생겼던 것입니다. 이를 놓고 많은 사람들이 갑론을박을 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결론을 내지 못하고 결국 사도 바울에게 문의를 하게 된 것이고 이에 바울이 답장으로 가르침을 주었습니다.
8장 후반부에 그에 대한 상세한 답변이 나오고 있는데 오늘의 이 말씀은 보다 근본적이고 원칙적인 내용에 대한 가르침을 주고 있습니다. 모든 다툼과 의견대립에 있어서 원칙이 분명하면 의외로 간단하게 해결된다는 것입니다. 신앙인에게 있어서 원칙이라면 그것은 하나님은 한 분뿐이시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하나님은 지식을 통해 만나는 것이 아니라 사랑으로 만나게 된다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사랑이시라는 말로 귀결됩니다.
하나님은 사랑이시라는 이 원칙을 고려하지 않으면 인간의 지식이 판을 치게 됩니다. 인간의 지식은 허탄한 논쟁이 될 뿐이고 정죄와 이탈, 추방이 결론이 될 뿐입니다. 그러나 한 분 하나님은 사랑이시라는 고백이 있다면 용서와 이해, 관용과 배려를 낳게 될 것입니다. 우리도 원칙에 충실한 성도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