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만남교회

조회 수 9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24 '나 주가 이렇게 말한다. 유다 왕 앞에서 낭독한 책에 기록된 모든 저주대로, 내가 이 곳과 여기에 사는 주민에게 재앙을 내리겠다. 25 그들이 나를 버리고 다른 신들에게 분향하여, 그들이 한 모든 일이 나를 노엽게 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내 분노를 여기에다 쏟을 것이니, 아무도 끄지 못할 것이다' 하셨소. 26 주님의 뜻을 주님께 여쭈어 보려고 그대들을 나에게로 보낸 유다 왕에게는 이렇게 전하시오. '주 이스라엘의 하나님이 이렇게 말한다. 네가 들은 말씀을 설명하겠다. 27 내가 이 곳과 이 곳에 사는 주민을 두고 말한 것을 네가 듣고, 마음에 느낀 바 있어서, 하나님 앞, 곧 내 앞에서 겸손해져서, 네가 옷을 찢으며 통곡하였으므로, 내가 네 기도를 들어주었다. 나 주가 말한다.

 

 

“통곡 - 희망의 근거”
사람들은 눈물을 흘릴 때 진실해 진다고 합니다. 눈물은 감정과 이성이 교차하며, 신체적으로 표현되는 현상이기 때문에 인간의 매우 복합적이고도 섬세한 심경을 나타냅니다. 이스라엘에서는 전통적으로 하나님 앞에 자신의 죄를 자복할 때 옷을 찢으면서, 통곡한다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때 ‘통곡’은 자신의 죄를 성찰하고, 경험하게 되는 회개의 눈물, 또 그가 지금 겪고 있는 슬픈 감정을 말하며, 옷을 찢는 행위는 그 감정을 외부로 표출함으로써 개인적인 자신의 잘못을 공식화하고, 하나님 앞에 다시금 죄를 짓지 않겠다는 결연한 의지를 보이는 행동입니다. 성서를 볼 때, 하나님께서는 큰 잘못을 저질렀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을 성찰하고 회개하는 이들을 기필코 용서하고 계신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통곡은 희망의 근거가 됩니다. 교만한자가 겸손해지고, 죽을 자가 산자가 되어간다는 구원의 근거말입니다.

 

 

내가 철저하게 통곡하게 하소서. 나를 통해 희망의 근거를 보이소서. 

 

 

사회적 성화를 위한 기도 : 이번 FTA로 피해 입을 농민을 위해서 기도합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1970 4월 2일(수) 역대하 25:6-11 "본전생각이 나더라도" 2014.04.01 91
1969 4월 3일(목) 역대하 28:1-5 "우상숭배의 실상" 2014.04.02 139
1968 4월 4일(금) 역대하 30:9-12 "적지만 귀하게!" 2014.04.02 100
» 4월 5일(토) 역대하 34:24-27 “통곡 - 희망의 근거” 2014.04.02 94
1966 4월 7일(월) 에스라 1:1-4 “해방의 날 - 처음의 모습으로” 2014.04.07 116
1965 4월 8일(화) 에스라 6:19-22 "예배의 원형" 2014.04.07 247
1964 4월 9일(수) 에스라 9:1-4 "혈통이 아니라 믿음" 2014.04.09 90
1963 4월 10일(목) 느헤미야 2:1-6 "철저하고 사려깊게!" 2014.04.09 138
1962 4월 11일(금) 느헤미야 5:14-19 "하나님만 바란 느헤미야" 2014.04.09 96
1961 4월 12일(토) 느헤미야 8:9-12 “거룩한 날은 축제다!” 2014.04.11 124
1960 4월 14일(월) 열왕기상 19장 11-12절 “세미한 소리가 있는지라” 2014.04.13 139
1959 4월 15일(화) 마태복음 10장 39절 “타인의 삶” 2014.04.14 148
1958 4월 16일(수) 요한 1서 4장 10절 “좋은 계절이 곧 오겠지요” 2014.04.15 243
1957 4월 17일(목) 이사야 53장 11-12절 “시대를 등에 지고, 예수의 길을 걷는 이” 2014.04.16 193
Board Pagination Prev 1 ...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271 Next
/ 2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