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아버지와 어머니를 업신여기는 자는 저주를 받는다' 하면, 모든 백성은 '아멘' 하십시오. 17 '이웃의 땅 경계석을 옮기는 자는 저주를 받는다' 하면, 모든 백성은 '아멘' 하십시오. 18 '눈이 먼 사람에게 길을 잘못 인도하는 자는 저주를 받는다' 하면, 모든 백성은 '아멘' 하십시오. 19 '외국 사람과 고아와 과부의 재판을 공정하게 하지 않는 자는 저주를 받는다' 하면, 모든 백성은 '아멘' 하십시오.
“아멘이 갖는 의미”
아멘은 통상 ‘믿습니다,’ 혹은 ‘네’로 알고 있습니다. 한국교회는 이 아멘이 주문이나 감탄사로 바뀌었습니다. 그런데 오늘 본문에서의 ‘아멘’은 다릅니다. 다짐의 의미가 강합니다. 기복의 모습이 아니고, 자기 주술이 아닌, 하나님의 뜻대로 살겠다라는 다짐의 의미입니다. 구약시대에는 서약과 계약의 의미가 더 강할지도 모르겠습니다. 본문에서 서약할 내용은 만만치 않습니다. 특히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거나 공의와 평화를 우선으로 하는 가치를 ‘아멘’으로 화답해야 합니다. 하나님의 명령대로 살지 않는 자는 바로 저주를 받습니다. 이것은 계약위반의 응당한 대가입니다. 그만큼 아멘의 대가는 혹독합니다. 아멘은 그렇게 살겠다라는 다짐이기 때문입니다.
신앙의 다짐을 통해서, 예수처럼 사는 힘을 갖게 되기를 기도합니다.
사회적 성화를 위한 기도 : 노후화된 원전이 폐쇄되기를 기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