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구꽃 봉우리를 보니 눈물이 납니다

by 좋은만남 posted Jul 11, 20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편지를 주고 받는 것은 남녀간에 사랑으로 낭만적인 편지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편지를 기대했다면, 기대하지 마시라. 이 책을 보는 순간, 무엇이 낭만이고, 무엇이 살가움인지를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서로에 대한 우정까지....

 

8984286273_1.jpg

 

이오덕과 권정생의 이름만으로도 저에게는 설레임과 존경 그 자체입니다. 그리고 삶을 동경하고 왜 나는 이렇게 살지 못할까라는 자책을 쉼없이 주는 선생님이기도 합니다. 이오덕 선생님의 일기가 근간으로 나오기도 했습니다.
   이 책은 이오덕과 권정생의 주고 받은 편지를 엮어서 만든 책입니다. 그래서 우리 독자에게 의미가 크고 과연 존경하는 선생님들은 무슨 대화를 하며, 어떤 수다를 나눌까라는 인간적이고 때로는 궁금증 많은 한 학생으로 돌아가는 마음이 들 때가 있습니다.  그래서  이 책은 이오덕과 권정생의 너무나 인간적인 모습을 느낄 수 있는 책입니다. 그리고 어찌보면, 부부의 모습이 이렇다면, 이 한국의 이혼율이 줄어들지 않을까라는 생각마저 드는 그들의 편지들입니다.

 

솔직히 저는 사람이 싫었습니다. 더욱이 거짓말 하는 어른은 보기도 싫었습니다. 나 자신이 어린이가 되어 어린이와 함계 살다 죽겠습니다. 선생님만은 제 마음 이애해 주실 겝니다. 나라고, 바보 아닌 이상 돈을 벌 줄 모르겠습니까? 돈이면 다아 되는 세상이 싫어, 나는 돈조차 싫었습니다. 돈 때문에 죄를 짓고, 하늘까지 부끄러워 못 보게 되면 어쩌겠어요? 내게 남은 건, 맑게 맑게 트인 푸른 빛 하늘 한 조각. 
이오덕 선생님.
하늘을 쳐다볼 수 있는 떳떳함만 지녔다면, 병신이라도 좋겠습니다. 양복을 입지 못해도, 장가를 가지 못해도, 친구가 없어도, 세 끼 보리바을 먹고 살아도, 나는, 나는 종달새처럼 노래하겠습니다. [살구꽃 봉오리를 보니 눈물이 납니다. 13-14쪽]

 

제가 교회에 나가고 싶다는 글을 쓴 것을 보신 것 같은데 [새생명]에 쓴 그 수필은 저의 솔직한 심경임에 틀림없습니다. 그런데 정작 교회에 나간다 생각하니 선뜻 마음이 안 내키는 것은 교회의 세속적 타락상에 혐오를 느끼는 감정 때문인 것 같기도 하고 교회라는 그 조직에 대한 좀더 근원적인 반발인 것 같기도 합니다. 저는 아무래도 무교회주의의 편에 있는 것인가 생각됩니다. [살구꽃 봉오리를 보니 눈물이 납니다. 145쪽]

 

요양원에서 제가 가장 깊이 느낀 것은 인간은 누구나 다 한 형제라는 것을 재확인 했습니다. 한솥의 밥을 먹으며 함께 자고 일어나는 환자들의 생활이야말로 그대로 공동체입니다. 우리가 자연을 보호하는 길, 그리고 인간이 고루고루 잘 살려면 많이 벌어 남을 돕는 일이 아니라, 나 자신이 적게 가지는 길이 가장 현명한 짓이라 생각했습니다. 제가 앉아서 함께 먹는 식탁은 네 사람입니다. 한가운데 놓인 반찬을 서로 아끼면서 먹다 보면 언제나 남게 마련입니다. [살구꽃 봉오리를 보니 눈물이 납니다. 18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