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만남교회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일 시 : 1995년 4월 28일 오전 7시 52분경
장 소 : 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인동 상인사거리 (영남중고앞)
인명피해 : 사망 101명, 부상 202
재산피해 : 건물피해 346건 37억, 차량 150대 5억8백만원,
사고원인 :
사고당일 사고지역 동남편 대구백화점 상인점 신축공사를 위한 그라우팅 천공작업중 100mm 도시가스관이 파손되어 유출된 가스가 하수관을 통하여 지하철공사장으로 유입, 상당시간 체류후에 원인미상의 화인으로 점화 폭발
 

 

 

 



대구 가스 폭발 사고1995년 4월 28일 대구 지하철 1호선 1-2구간 공사장 인근에서 대구백화점 상인점 신축공사를 위해 터파기공사를 하던 인부가 부근을 지나던 100mm 도시가스관을 파손해 지하철 공사장에 가스가 고여있다 폭발한 사고이다. 이 사고로 학생 42명을 포함해 102명 사망, 117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건물 300여채, 자동차 150여대가 파손되어 피해액은 600억원 정도였다. 한편 이 사건 이후 회사 관계자 9명이 구속되었다.

 

 


1995 4 28 대구광역시 상인동(上仁洞) 지하철 1호선 제1~2구간 공사장에서 일어난 가스폭발 사건.
대구시 상인동 70번지 영남중고교 앞 네거리 지하철 1호선 제12구간 공사장에서 일어난 가스폭발 사건이다. 인근 대구백화점 상인점 신축 공사장에서 지반을 다지기 위한 천공작업 중 그 부근을 지나던 지름 100mm의 가스관을 파손해 이 가스관으로부터 새어 나온 가스가 하수관을 타고 지하철 공사장으로 흘러들어 괴었다가 폭발하였다.
천공작업을 하던 ()표준개발은 가스관이 파손된 지 30여 분이 지난 뒤에야 도시가스측에 신고하고, 신고를 받은 대구 도시가스측도 신고 후 30여 분이 지난 뒤에야 사고현장으로 통하는 가스밸브를 잠그는 등 늑장 조처로 큰 피해를 초래했다. 폭발음과 함께 50m의 불기둥이 치솟았으며, 지하철 공사장 복공판 400m 구간이 내려앉아 차량 150대가 파손되고 주택, 건물 등 80여 채가 파괴되었다. 그리고 등교 중이던 학생 42명을 비롯하여 사망 102, 부상 117명 등 220여 명의 사상자를 냈다. 피해액은 약 600여 억원으로 추정되었다.
이 사고처리를 위해 설치된 검경 합동수사본부는 대구백화점 상인점 공사를 맡은 ()표준개발의 과실에 의한 사고임을 밝혀내고 회사 관계자 9명을 업무상 과실치사상 등의 혐의로 구속 기소했다.
이 사고로 지하 매설물에 대한 전산대장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당국의 안전관리 행정에 대한 비판이 크게 일었으며, 긴급 구난체계 및 통합 구조체계의 정비에 대한 정부와 국민의 목소리가 높아져,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대책기구가 설립되고, 도시가스사업법 등 관계 법령의 개정을 가져왔다.

1_2669079936E_130001.jpg
?

  1. <사회적 상징물> 3월 25일(1989년) 문익환 목사 방북

  2. <사회적 상징물> 4월 3일(1948년) 제주 4.3항쟁

  3. <사회적 상징물> 4월 9일(1975년) 인혁당 사형판결

  4. <사회적 상징물> 4월 19일(1960년) 4.19 혁명

  5. <사회적 상징물> 4월 28일(1995년) 대구지하철가스폭발사고

  6. <사회적 상징물> 5월 13일(1975년) 긴급조치 9호 선포

  7. <사회적 상징물> 5월 18일(1980년) 광주민주화운동

  8. <사회적 상징물> 5월 30일(1980년) 김의기 열사 34주기

  9. <사회적 상징물> 6월 10일(1987년) 6.10 민주항쟁

  10. 여기사람있다~!

  11. 여기 사람있다

  12. 여기 사람있다~!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25 Next
/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