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만남교회

조회 수 32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1989년 3월 25일 전국민족민주운동연합 상임고문 문익환 목사가 북한의 조국평화통일위원회의 초청으로 평양을 방문한 사건.

문익환 목사는 통일민주당 당원 유원호, 재일동포 정경모와 함께 개인자격으로 평양을 방문해 분단 이후 처음 반(半)공개적으로 북한의 김일성 및 허담과 회담했다. 방문기간중 김일성과 2차례에 걸쳐 통일문제를 중심으로 회담을 가졌으며,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 허담과의 회담 등을 통해 4월 2일 인민문화궁전에서 내외신기자 회견을 갖고 '자주적 평화통일과 관련된 원칙적 문제 9개항'에 대한 합의성명을 발표했다.

합의성명은 ① 자주·평화·민족대단결의 3원칙에 기초해 통일문제 해결, ② 정치·군사 회담을 진전시켜 정치적·군사적 대결상태 해소와 동시에 다방면 교류·접촉 실현, ③ 연방제 방식의 통일, ④ 팀스피리트 훈련 반대 등을 주요골자로 하고 있다. 이 사건이 발생하자 정부는 문익환 목사가 정부와 사전협의 없이 독자적으로 방북했으며 평양 도착성명에서 "존경하는 김일성 주석" 등의 표현을 사용하고 남한정부를 일방적으로 비방했다는 이유로 국가보안법상의 '반국가단체잠입죄'를 적용해 의법조치했다. 이어 '공안합동수사본부'를 구성해 전국민족민주운동연합 주요간부를 연행·조사하고, 시인 고은과 전국민족민주운동연합 조국통일위원회 위원장 이재오를 구속했다. 재판 결과 문익환 목사는 지령수수·잠입·탈출혐의가 적용되어 징역 7년을 선고받았다.

 

%B9%AE~1.JPG

?

  1. <사회적 상징물> 3월 25일(1989년) 문익환 목사 방북

  2. <사회적 상징물> 4월 3일(1948년) 제주 4.3항쟁

  3. <사회적 상징물> 4월 9일(1975년) 인혁당 사형판결

  4. <사회적 상징물> 4월 19일(1960년) 4.19 혁명

  5. <사회적 상징물> 4월 28일(1995년) 대구지하철가스폭발사고

  6. <사회적 상징물> 5월 13일(1975년) 긴급조치 9호 선포

  7. <사회적 상징물> 5월 18일(1980년) 광주민주화운동

  8. <사회적 상징물> 5월 30일(1980년) 김의기 열사 34주기

  9. <사회적 상징물> 6월 10일(1987년) 6.10 민주항쟁

  10. 여기사람있다~!

  11. 여기 사람있다

  12. 여기 사람있다~!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25 Next
/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