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3월 13일(수) 좋은만남교회 수요성서대학 / 강사: 이관택 전도사
골로새 서신
1. 골로새 교회
* 골로새
→ 소아시아, 에베소로부터 동쪽으로 110마일 떨어져 있는 브리기아 남쪽의 성읍
* 바울이 세운 교회가 아니다.
- 바울이 골로새서를 보내기 이전에 골로새를 방문한 적이 없다.(2:1)
- 골로새교회는 에바브라가 세움(4:13, 1:7, 4:12)
- 에바브라는 바울의 위임에 의해 교회를 세움(1:7)
* 골로새 교회
- 두 개의 가정교회가 있었음(4:15, 17, 몬2) → 라오디게아, 아킵보의 교회
- 주로 이방인 기독교인들로 구성
- 요세푸스의 기록을 보면 안티오커스 3세가 바벨론에 있는 2000명의 유대인가족
→ 루디아와 브리기아로 이주시킴 → 유대인의 영향이 많이 남아있을 것임
* 바울의 옥중서신
- 바울은 이 편지를 옥중에서 기록하였다(4:3, 10, 18, 1:24)
- 에바브라는 바울과 함께 옥에 갇혀 있었던 것으로 보임(몬 23)
- 바울은 에바브로를 통해 교회의 사정을 전해 듣고 편지를 써서,
두기고를 통해 골로새 교회에 전했다(4:7-8, 12-13)
- 골로새서와 빌레몬서에 나오는 에바브라가
빌립보서에 나오는 에바브로디도와 동일인물은 아니다.
2. 동기와 목적
* 교회의 위험
- 골로새 교회는 성장과 발전을 하고 있었지만 위험스런 교리가 만연해 있었다.
→ 유대적인 + 이방적인 영향의 소산
→ 어떤 천사적 존재들이 인간의 일과 모든 피조물까지도 지배한다는 신앙
→ 이런 영적인 존재들을 달래고 회유하기 위해서는 그런 초자연적 존재들과
그들의 활동에 대한 “지식”(gnosis)을 얻어야 한다는 것이 주요 관심사
- 바울은 이런 생각들이 그리스도의 지위를 위협하며 잘못된 생각이라 여겨
단호히 대처하고 있다.
→ 그리스도가 우주 안에서 독특한 지위를 가지고 있으며,
우주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 유대적 절충주의
- 절기, 할례 등 유대적 관습들을 지키는 모습이 있다.(2:16-17)
- 유대교의 어떤 집단들에서는 천사들이 중보자의 역할을 한다고 믿음
→ 쿰란 공동체도 천사들의 이름과 그들이 세상에서 담당하고 있는 역할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한다.
* 이교도의 영향
- ‘세상의 초보적인 영들’이 우주를 지배하고 있다는 신앙(2:8,20)
- 각 영이 ‘신성의 충만함’의 일부를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절충주의의 결과
- 유대적이며 이교적인 절충주의의 결과는 심각했다.
→ 감추어진 능력있는 존재들과 그들이 지배하는 세상 영역에 대한
특별한 지식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 그들의 이름과 역할 회유책을 아는 것이 중요했다.
→ 어떤 일을 위해서는 어떤 날들이 유리하고,
어떤 날이 불리한지 아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 바울의 주장
- 그리스도 신앙에 위배되는 위험한 경향들을 반박
- 우주 안에서의 그리스도의 역할이 온전히 충분함을 강조
- 바울은 구약의 지혜문학을 인용하여 온 우주가 처음부터 하나님의 지혜에 의해
창조되고 지배됨을 증거 이 지혜가 그리스도 안에서 충분히 나타남(1:15-20)
3. 저자 문제
* 바울 저작설
- 초기 기독교에서는 골로새서가 바울의 기록이라고 믿음
→ 무라토리안 경전, 말시온 경전에서도 바울의 편지로 소개
- 19세기에 들어서서 의심을 함
→ 1. 언어와 문체가 바울의 주요서신들과 다름
2. 골로새의 신학은 더욱 발전된 형태이다.
→ 분명해진 교회론, 우주적 그리스도를 말하는 기독론
그리스도를 머리로 생각하는 몸의 개념
종말 기대의 감소
3. 이단의 “영지주의적” 성격
→ 영지주의는 2세기에 와서 성행했던 헬라사상아기 때문
4. 바울과 디모데, 두사람의 이름으로 발송된 편지
→ 편지는 디모데가 썼고, 바울은 친필 문안만 썼다는 인상(4:18)
4. 기록장소와 시기
* 옥중에서 기록된 골로새서
→ 이것만으로 기록 장소를 알아낼 수 없다.
* 에베소에서 기록되었을 경우
- 에베소는 소아시아 바울 활동의 중심지
- 바울이 그 곳에서 고통을 당한 기록이 있음(고후 1:8-10)
- 골로새와 거리가 가까움 → 에바브라와 오네시모의 여행이 용이
- 마지막 작별 인사 중 마가, 누가와 함께 있는 것으로 나옴(4:10, 14)
→ 사도행전 15:37-39에 의하면 누가와 마가는
에베소에 바울과 함께 있을 수 없다.
* 가이사랴에서 기록되었을 경우
- 가이사랴에서도 옥에 갇힘
- 아리스다고가 바울과 함께 옥중에 있다는 언급(4:10) 사도행전 20:4, 24:23
- 마가와 누가가 바울과 함께 가이사랴 여행했을 것이라 추측
- 그러나 이 곳에서 바울이 전도활동을 벌이지 않았다.
* 로마에서 기록되었을 경우
- 로마에서는 바울이 어느정도 자유롭게 복음을 전함
- 오네시모를 만난 시기
- 주후 61-63년경
5. 내용 구문
(1) 서론(1:1-11) - 감사와 기도
(2) 신학적 기초(1:12-2:23) - 그리스도는 주님
1) 기독론적 찬양시(1:12-23)
2) 사도의 직분(1:24-2:5)
3) 거짓 교훈에 대한 경고(2:6-23)
(가) 기독교 신앙의 본질(22:6-7)
(나) 교리로서의 거짓 교훈에 대한 경고(2:16-23)
(다) 실천으로서의 거짓 교훈에 대한 경고(2:16-23)
(3) 윤리적 적용(3:1-4:6) - 그리스도 안에 있는 것처럼 살아라.
1) 그리스도와 함께 부활했으니 그 안에서 살라(3:1-4)
2) 옛 사람을 벗어버리고 새 사람을 입으라(3:5-17)
(가) 옛 사람을 벗는 것의 의미(3:5-11)
(나) 새 사람을 입는 것의 의미(3:12-17)
3) 가족 생활에의 구체적 적용(3:8-4:1)
4) 기도와 전도에 대한 구체적 지시(4:2-6)
(4) 결론(4:7-18)
1) 두기고와 오네시모의 추천
2) 인사(4:10-15)
3) 교훈(4:16-17)
4) 친필 서명과 축도(4:18)